Accura 2300S/2350-1P3FSC | |
Data Center Distribution Panel Digital Power Meter / | |
Actually makes possible data center energy measurement | |
| |
홍보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LRdp7FzM6bk&t=2s | |
전력수급중심의 총부하에너지관리에서 사용중심의 중요부하별 에너지관리로 패러다임변화 | |
에너지 저가시대에는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한 수배전반 [인입 Feeder에서 ABS반까지] 중심의 총부하에너지관리가 주요 했었다. 그러나 현재는 에너지비용이 급격히 상승하고 2015년 탄소배출권거래제가 시행된 시점에서 산업설비, 플랜트, 제조공장, IDC센터, 빌딩의 분전반내 분기부하 전기에너지관리를 하고자 하는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 |
| 수배전반 디지털전력메터의 분전반 적용한계 |
기존 수배전반 에너지관리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디지털전력메터를 분전반내 분기 부하별로 설치하는 것은 협소한 분전반 공간, 전압전류결선의 위험성, 설치경제성의 문제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결국 에너지관리책임자에게 분전반내 중요 부하 전기에너지정보에 대한 근본적 접근을 어렵게 만들어 사용부하별 실제적 에너지관리대책 수립을 불가능하게 한다. | |
중요부하관리에 특화된 분전반 전력메터 | |
분전반 전력메터는 분전반 [MCC반 포함] 전면에 설치되는 Accura 2300S 분전반 디지털전력메터와 분전반 내부 분기부하 [에너지정보 취득이 필요한]에 설치되는 Accura 2350으로 구성된다. Accura 2300S은 다수의 Accura 2350에서 전력 데이터를 내부전용통신[RS-485]으로 수집하는 구조이며, 분기부하별로 일괄계측한다. 이는 기존 수배전반 디지털전력메터 로는 계측할 수 없었던 분전반내 중요부하 전력정보를 에너지관리책임자에게 제공하게 한다. | |
다수의 단상피더를 가진 데이터센터 분전반 계측에 적합한 Accura 2350-1P3FSC 단상삼피더전력계측모듈[기본모듈] | |
데이터센터 분전반은 서버에 전력공급을 위하여 동일 전류용량을 가진 다수의 단상피더를 가지고 있다. Accura 2350- 1P3FSC 단상삼피더전력계측모듈은 동일 전류용량을 가진 3개의 단상피더를 동시에 계측한다. 이는 개별피더당 단상전력 계측모듈 Accura 2350 1P-[1PSC]을 설치해야 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설치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 |
단상피더별 누설전류와 MCCB 트립상태의 모니터링을 지원하는 Accura 2350-1P3FSC-DIZCT 단상삼피더전력계측모듈[옵션모듈] | |
Accura 2350 - 1P3FSC - DIZCT 단상삼피더전력계측모듈[옵션모듈]은 Accura 2350 - 1P3FSC 단상삼피더전력계측모듈 [기본모듈]의 기능을 확장하여 각 피더별 누설전류와 MCCB 트립상태까지 모니터링할 수 있는 추가기능[옵션]을 제공한다. 이는 에너지관리뿐만 아니라 전력공급 지속성을 위한 Safety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 |
전압 ±0.2% Reading / 전류 ±0.5% Reading / IEC62053-22 Class 0.5S 정밀계측 | |
최근 데이터센터, 플랜드, 공장, 빌딩 등의 현장에서는 온실가스배출규제로 인한 효율적인 에너지사용 및 예방관리를
위해 정밀도이다. Accura 2300S / 2350-1P3FSC는 전압 ±0.2% Reading 및 전류 ±0.5% Reading 정밀계측을 하고, 전력 / 전력량은 IEC62053-22 Class 0.5S를 만족하므로 에너지관리와 전력설비의 다양한 문제에 대하여 정확한 분석 /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 |
Dip[Sag] / Swell [IEC61000-4-30], 전력품질 | |
Accura 2300S는 Dip[Sag], Swell과 고조파정보[40차까지], Crest factor, K-factor, 불평형율 등의 다양한 전력품질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에너지관리책임자가 전력설비 내 다양한 수배전반별 전력품질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므로 실제적인 전력품질관리가 가능하게 한다. 전력품질 정보는 IEC61000-4-30을 따른다. | |
Aggregation 구간내 최대 / 최소 / 평균 통계정보 제공 | |
Accura 2300S는 사이클 단위의 계측으로부터 매 0.5초 구간에 해당하는 평균값을 계산한다. 이 매 0.5초 구간 평균값으로 부터 1초, 5초, 1분, 5분, 1시간 및 6시간 구간에 대하여 각각 최대 / 최소 / 평균값을 연산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0.5초보다 긴
계측구간을 Aggregation 구간 [Interval]이라 한다. 각각의 Aggregation 구간에 대한 최대 / 최소 / 평균 통계정보 및 최대 / 최소 발생시점에 대한 시간정보 [타임스탬프] 를 제공한다. 이는 Aggregation 구간에 대하여 순시적으로 변동하는 계측파라미터의 정보를 포함하므로 전압, 전류, 전력의 품질에 대한 정확한 트렌드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 |
CE / UL 안전성, 신뢰성 | |
Accura 2300S의 내외부구조[기구설계, 회로설계, 전기화재]는 CE[EN61326-1, EN61326-2-1, EN61010-1], UL[UL61010-1]의 안전도 및 신뢰성 규격을 만족한다. | |
동일한 정격전류의 MCCB / ELB와 일체형 설치 | |
Accura 2350-1P3FSC 단상삼피더전력계측모듈은 60A, 125A 두가지 정격전류에 대하여 관통 홀 간 간격이 MCCB / ELB의 단자 간 간격과 호환되므로 분전반내 기존 배선차단기와 일체형설치가 가능하다. | |
코어분리[Split-core]구조로 활선상태 설치가능 | |
Accura 2350 - 1P3FSC 단상삼피더전력계측모듈은 코어분리구조이므로 활선시 정전작업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그 외 - 이더넷 2포트[이더넷스위칭] - RS-485 1포트 - 설치규격[ANSI 4", DIN96] 응용분야 - 전사적 에너지관리시스템 - 데이터센타 서버별 에너지관리 - 고비용에너지절감으로 온실가스배출관리 - 고효율설비 에너지효율성검증 |
Accura 2300S 분전반 디지털전력메터
인입단 전압계측 | |
분전반 인입단의 전압 센싱 | |
디스플레이 | |
Accura 2300S의 계측정보 및 Accura 2350 모듈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LCD에 표시1 | |
계측 항목 | |
전압 | 상전압, 선간전압, 주파수, 기본파2, 3, 고조파2, 3, THD |
벡터다이어그램(Phasor)3, 잔류전압3, 4 | |
대칭좌표 불평형률(영상분/역상분)3, NEMA 불평형률3 | |
온도 | Accura 2300S 후면 표면온도 |
전력품질 | |
Dip(Sag), Swell | Half-cycle 갱신되는 1-cycle RMS 전압 계측 |
고조파 | 40차까지 |
불평형률3 | 상전압/선간전압 불평형률, 영상분/역상분 불평형률 |
계측 이벤트 | |
이벤트 종류 | Dip(Sag), Swell 이벤트 |
Phase open 이벤트3, Fuse fail 이벤트, Over temperature 이벤트 | |
Over current 이벤트, Over leakage current 이벤트 | |
Over demand current 이벤트, Over power 이벤트 | |
이벤트로그 개수 | 최대 100개 |
Accura 2350 모듈과 내부 통신 | |
전용 통신 | 전압 샘플링 정보를 다수의 Accura 2350 모듈로 전송 |
다수의 Accura 2350 모듈로부터 계측정보 수집 | |
상위 시스템과 외부 통신 | |
이더넷 | 100 Mbps/Full Duplex Modbus TCP 프로토콜로 상위 시스템과 통신 |
2개의 포트를 이용한 이더넷 스위칭 | |
결선 : 스타, 데이지체인, 링(RSTP5 지원) | |
RS-485 | 1,200 –115,200 bps6 Modbus RTU 프로토콜로 상위 시스템과 통신 |
디지털입출력 | |
디지털입력 | 2채널, dry contact |
디지털출력 | 1채널, Form A relay |
제어전원 | |
전원전압 | AC 85–265 V 50/60 Hz, DC 100–300 V |
1 선택된 Accura 2350 모듈의 계측정보만 LCD에 표시된다.
2 삼상4선에서는 상전압에 대한 값이며, 삼상3선에서는 선간전압에 대한 값이다.
3 Accura 2300S LCD에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통신으로만 데이터취득이 가능하다.
4 잔류전압은 계측된 삼상의 전압을 합하여 연산한 RMS 전압이다.
5 RSTP(Rapid Spanning Tree Protocol), IEEE 802.1D-2004.
6 통신속도 115,200 bps에서는 버스 당 16대까지 연결 가능하다.
Accura 2350-1P3FSC 단상삼피더전력계측모듈
단상부하별 전력계측 | |
분전반의 분기부하에 설치되어 단상부하별 전류 센싱 및 Accura 2300S로부터 수신된 전압 샘플링 정보로부터 각종 전력특성 계측 | |
모델 | 기본전류 |
Accura 2350–1P3FSC–125A | 125 A |
Accura 2350-1P3FSC–125A–DIZCT | 125 A |
Accura 2350–1P3FSC–60A | 60 A |
Accura 2350-1P3FSC-60A-DIZCT | 60 A |
계측 | |
전류 | RMS, 기본파, THD, TDD, 고조파1, 누설전류2 |
벡터다이어그램(Phasor)1, Crest factor1, K-factor1 | |
전력 | 유효전력, 무효전력, 피상전력 |
전력량 | 유효전력량(수전/송전/Net/합산), 무효전력량1, 피상전력량1 |
역률 | 역률 |
디맨드 | 전류/전력 디맨드, 전류/전력 피크 디맨드, 전류/전력 예측 디맨드1 |
Accura 2300S와 내부 통신 | |
전용 통신 | Accura 2300S로부터 전압 샘플링 정보 수신 |
계측데이터 및 상태를 Accura 2300S로 전송 | |
누설전류 및 디지털입력(선택 사양2) | |
누설전류입력2 | 단상삼피더를 위한 3채널 |
디지털입력2 | 4채널, dry contact |
제어전원 | |
전원전압 | Accura 2300S에서 공급받음 |
1 Accura 2300S LCD에 표시되지 않고 통신으로만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다.
2 Accura 2350–1P3FSC–DIZCT 옵션모듈에서만 지원한다.
Accura 2300S 분전반 디지털전력메터
제어전원 | ||
단자명 | L+, N-, G(earth ground) | |
커넥터 타입 | 스크류타입 터미널(Pluggable) | |
전선규격 | 2.1 – 4.0 mm2(14 – 12 AWG), 구리 또는 알루미늄 | |
전선 온도 정격 | 70 °C 이상 | |
전원전압 | AC 85 – 265 V 50/60 Hz, DC 100 – 300 V | |
내전압 | AC 2,500 V RMS, 60 Hz 1분간 | |
작동 환경 | Pollution degree 2 | |
소비전력 | 최대 20 VA | 연결된 Accura 2350 개수에 따라 변동됨 |
돌입전류 | Peak 25 A, duration 2 msec 이하 (AC 220 V)2 | |
전압입력 | ||
단자명 | V1, V2, V3, VN | |
커넥터 타입 | 터미널블록1 | |
전선규격 | 2.1 – 3.5 mm2(14 – 12 AWG), 구리 또는 알루미늄 | |
전선 온도 정격 | 70 °C 이상 | |
Burden | 0.02 VA/상 @ 220 V | |
내전압 | AC 2,000 V RMS, 60 Hz 1분간 | |
임피던스 | 10 MΩ/상 | |
계측 범주 | Category Ⅲ | |
Accura 2350 모듈과 내부 통신 | ||
전용 통신 | 포트명 | RJ12–1, RJ12–2 (2 포트) |
통신선 | 6C전화선3 | |
통신선 길이4 | 포트 당 최대 6 m | |
모듈 연결대수5 | 포트 당 최대 15대 | |
상위 시스템과 외부 통신 | ||
이더넷 | 포트명 | Ethernet1, Ethernet2 (2 포트) |
커넥터 타입 | RJ45 | |
프로토콜 | Modbus TCP | |
이더넷 통신선 | STP(Shielded Twisted Pair)/ SFTP(Screened Foiled Twisted Pair) Cat 5e | |
통신속도 | 100 Base–TX(100 Mbps/Full Duplex) | |
결선 방식 | 스타(Star), 데이지체인(Daisy-Chain), 링(Ring) 결선 | |
RS–48514 | 단자명 | Ta(TRX+), Tb(TRX-) |
커넥터 타입 | 스크류타입 터미널(Pluggable) | |
프로토콜 | Modbus TCP | |
통신선 규격 | 0.21 – 3.5 mm2(24 – 12 AWG), Shielded twisted pair6 | |
통신선 길이 | 최대 1,219 m(4,000 ft) | |
통신속도 | 1,200 – 115,2007 bps | |
연결장치 대수 | 버스 당 최대 32대7 | |
디지털입출력 | ||
디지털입력 | 단자명 | DI1, DI2, DIG |
커넥터 타입 | 터미널블록8 | |
입력 타입 | 2채널, Dry contact (공통 그라운드) | |
전선규격 | 1.5 – 3.5 mm2(16 – 12 AWG), 구리 또는 알루미늄 | |
정격 | DC 5 V (Self excitation) | |
절연 | 최대 300 V | |
최소 펄스폭 | 1초 | |
디지털출력 | 단자명 | DO, DOG |
커넥터 타입 | 터미널블록8 | |
전선규격 | 1.5 – 3.5 mm2(16 – 12 AWG), 구리 또는 알루미늄 | |
출력 접점 | 1채널, Form A relay | |
출력 타입 | 래치(Latch), 불가산/가산 단일펄스(Pulse)9, 주기펄스(Periodic Pulse)9 | |
절연 | AC 2,000 V 1분간 | |
최대정격 | AC 250 V 5 A, DC 110 V 0.3 A, DC 30 V 5 A | |
전압 계측 | ||
전압결선 방식 | 삼상4선, 삼상3선, 단상3선, 단상2선 | |
샘플링 | 512 샘플/사이클 | |
계측 주파수 | 50/60 Hz, 42 – 69 Hz | |
전압 | 계측 범위10(정밀도 보장) | AC 60 – 600 V Line–to–line |
정밀도 | ±0.2 % Reading | |
최대 계측 | AC 660 V Line–to–line | |
최소 계측 | AC 5 V Line–to–neutral | |
계측 정보 | 상전압, 선간전압, 주파수, 기본파11,12, 고조파11,12, THD | |
벡터다이어그램(Phasor)12, 잔류전압12,13 | ||
대칭좌표 불평형률(영상분/역상분)12, NEMA 불평형률12 | ||
전력품질 | ||
Dip(Sag), Swell | Half–cycle 갱신되는 1–cycle RMS 전압 계측 | |
전압 고조파11 | 고조파 차수 | 40차까지 |
계측 정보 | THD, 조파별 크기 | |
불평형률12 | NEMA 기준의 상전압/선간전압 불평형률 | |
대칭좌표 영상분/역상분 전압 불평형률 |
1 Barrier –type 단자의 터미널 screw 토크는 최대 1.36 Nm(14 kgf –cm, 12 lbf –in) 이다.
2 전원 입력단에 퓨즈를 설치하는 경우, 돌입전류로 인하여 2 A/500 V 이상의 퓨즈를 권장한다.
3 제품과 함께 기본 제공되며, 4C 일반전화선은 사용이 불가하다.
6C 전화선의 내부도선은 최소 0.128 mm2 (26 AWG)가 되어야 하며, 노이즈가 많은 전력선에 의한 통신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전력선과의 이격거리를
5mm 이상으로 권장한다.
4 Accura 2300S의 포트(RJ12-1 또는 RJ12-2)에서 마지막 Accura 2350까지 연결하는 6C 전화선 최대연장길이이다.
5 Accura 2300S은 포트(RJ12-1, RJ12-2)당 최대 15대의 Accura 2350 3P/1P 삼상/단상전력계측모듈을 연결할 수 있다.
삼상/단상전력계측모듈 이외의 특수모듈을 연결하는 경우, 특수모듈의 개별 매뉴얼을 참조한다.
6 Accura 2300S는 G 단자에 연결한다.
7 통신속도 115,200 bps에서는 버스 당 16대까지 연결 가능하다.
8 Barrier-type 디지털입출력 단자의 터미널 screw 토크는 최대 0.9 Nm(9 kgf –cm, 8 lbf –in) 이다.
9 펄스의 한 사이클은 펄스주기와 펄스On시간으로 정의된다.
10 장치의 입력전압 레벨이기 때문에, 외부 PT를 사용하는 경우 1차 전압은 PT 비를 곱한 값이다.
11 삼상4선에서는 상전압에 대한 값이며, 삼상3선에서는 선간전압에 대한 값이다.
12 Accura 2300S LCD에 표시되지 않고 통신으로만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다.
13 잔류전압은 계측된 삼상의 전압을 합하여 연산한 RMS 전압이다.
Accura 2350-1P3FSC 단상삼피더전력계측모듈
전류입력 | ||||||
커넥터타입 | 관통형(Through hole) | |||||
전선규격 | 관통크기에 따라 선택 | |||||
계측 | ||||||
계측 주파수 | 50/60 Hz, 42 – 69 Hz | |||||
샘플링 | FFT 연산(고조파 계측) | 64 샘플/사이클 | ||||
RMS 연산(일반 계측) | 32 샘플/사이클 | |||||
계측범위 | 모델 | 기본전류 | 범위(정밀도 보장) | 최소계측 | 관통크기 | |
Accura 2350-1P3FSC-125A | 125 A | 1.25 A - 150A | 0.83A | 16.6 x 21.8 mm | ||
Accura 2350-1P3FSC-125A-DIZCT | 125 A | 1.25 A - 150A | 0.83 A | 16.6 x 21.8 mm | ||
Accura 2350-1P3FSC-60A | 60 A | 0.60 A - 7A | 0.40 A | 11.8 x 21.8 mm | ||
Accura 2350-1P3FSC-60A-DIZCT | 60 A | 0.60 A - 7A | 0.40 A | 11.8 x 21.8 mm | ||
정밀도 | ±0.5 % Reading1 | |||||
계측 정보 | RMS, 기본파, THD, TDD, 고조파2 | |||||
벡터다이어그램(Phasor)2, Crest factor2, K-factor2 | ||||||
누설전류3 | 누설전류 입력 | 전압형 외부 ZCT 200 mA/100 mV @1.2 kΩ Burden | ||||
정밀도4/계측 범위 | ±2 % Reading + 2 mA / Up to 2 A | |||||
전력 | 유효전력 | 정밀도 | IEC 61557-12 Class 0.5 | |||
무효전력 | IEC 61557-12 Class 1 | |||||
피상전력 | IEC 61557-12 Class 0.5 | |||||
전력량 | 유효전력량 | 정밀도 | IEC 62053-22 Class 0.5S | |||
계측 정보 | 수전전력량, 송전전력량, Net 전력량, 합산전력량 | |||||
무효전력량3 | 정밀도 | IEC 62053-24 Class 1 | ||||
계측 정보 | Positive 전력량, negative 전력량, Net 전력량, 합산전력량 | |||||
피상전력량3 | 정밀도 | IEC 61557-12 Class 0.5 | ||||
역률 | 역률 | |||||
디맨드 | 전류/전력 | 디맨드, 피크 디맨드, 예측 디맨드2,5 | ||||
전력품질 | ||||||
전류 고조파 | 고조파 차수 | 31차까지 | ||||
계측 정보 | THD, TDD, 조파별 크기2 | |||||
디지털입력3 | ||||||
단자명 | DI1, DI2, DI3, DI4, DIG | |||||
커넥터 타입 | 터미널블록 | |||||
입력 타입 | Dry contact | |||||
전선규격 | 0.21 – 2.1 mm2 (24 – 14 AWG), 구리 또는 알루미늄 | |||||
절연 | 채널간 비절연 | |||||
최소 펄스폭 | 0.5초 | |||||
누설전류입력3 | ||||||
단자명 | Z1, Z2, Z3, Z1G, Z2G, Z3G | |||||
커넥터 타입 | 터미널블록 | |||||
전선규격 | 0.21 – 2.1 mm2 (24 – 14 AWG), 구리 또는 알루미늄 |
1 전선의 관통위치에 따라 최대 ±1 %의 오차가 증가될 수 있다.
2 Accura 2300S LCD에 표시되지 않고 통신으로만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다.
3 Accura 2350-1P3FSC-DIZCT 옵션모듈에서만 지원한다.
4 외부 ZCT 오차가 0인 경우에 대한 정밀도이다.
5 디맨드 서브구간 내 남은 디맨드 서브구간 동안 현재 시점의 값으로 유지한다고 가정하여 예측 디맨드를 연산한다.
Accura 2300S/2350 공통
환경조건 | 영역 |
동작온도 | -20 to 70℃(-4 to 158℉) |
안전온도1 | -20 to 65℃(-4 to 149℉) |
보관온도 | -40 to 85℃(-40 to 185℉) |
동작습도 | 무결로상태 5 - 95% |
작동고도 | 2,000 m 까지 |
1 UL 61010-1 3rd edition 규격 만족